팔 저림 증상,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어…초기 재활치료로 개선 가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6회 댓글 0건본문
최근 사무직 종사자들 사이에서 팔 저림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장시간 같은 자세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경추(목뼈)의 과도한 긴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경추 추간판탈출증’, 일명 목디스크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추는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는 구조적 역할을 하는 부위로, 주변 근육과 인대의 힘이 약한 편이기 때문에 자세가 무너지거나 반복적인 긴장 상태가 이어지면 쉽게 손상되기 쉽다.
특히 경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탈출해 목에서 팔로 이어지는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단순한 목 통증을 넘어 팔 저림, 당김, 감각 저하, 어깨 통증 등 다양한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문제는 이러한 증상이 목디스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단순한 근육통이나 혈액순환 장애로 오해하기 쉽다는 데 있다. 팔 저림 증상이 반복되거나 손끝 감각이 무뎌지고 필기구 사용, 젓가락질 등에 불편함이 생긴다면 단순한 일시적 피로가 아닌 신경 압박을 의심해봐야 한다.
굿본 정형외과 재활의학과의원 을지로점 홍동환 대표원장은 “목디스크는 통증이 목에만 머무르지 않고 어깨, 팔, 손 등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본인이 경추 질환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
초기에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도수치료 등 비수술적인 방법만으로도 상당한 호전이 가능하므로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단순 통증이 아닌 신경 증상이라면 근전도(EMG) 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신경 손상 정도와 압박 부위를 확인해야 하며, 이는 치료 방향과 예후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이 된다.
치료 접근에 있어 수술은 대부분의 경우 필요하지 않으며, 도수치료와 같은 재활 중심의 비수술 치료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고 근육을 강화하는 방식으로도 증상 완화 및 재발 방지가 가능하다.
홍 원장은 “신경차단술과 같은 주사치료도 경우에 따라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수술이 부담스러운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며 “다만 시술 위치나 약물 성분에 따라 부작용 가능성도 있는 만큼 반드시 치료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를 통해 진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치료도 중요하지만, 목디스크를 유발하
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근본적인 예방책”이라며 “오랜 시간 앉아 있는 경우라면 한 시간에 한 번은 자리에서 일어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고, 컴퓨터 화면과 눈높이를 맞추는 등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출처 : E동아(https://edu.donga.com)